활동: 서비스 식별
이 기능 패턴은 후보 서비스를 식별하고 품질을 인증하는 기법을 제공합니다.
확장: 서비스 식별
설명작업분류 체계(WBS)팀 할당중간 산출물 사용법
관계
상위 활동
설명

이 섹션은 소프트웨어 설계자 또는 디자이너가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안내를 개략적으로 설명합니다. 이 서비스 식별과 서비스 스펙 및 서비스 제공자로의 클러스터링 프로세스는 여러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아래 선택사항은 특정 프로젝트에서 독자적으로 또는 몇 가지 사항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식별은 일반적으로 서비스 지향 솔루션을 모델링하는 데 있어 첫 번째 타스크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식별 단계의 오류가 세부 디자인 및 구현 타스크까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음 다이어그램은 서비스 식별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상호 배타적이지만 특정 접근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광범위한 프로세스 및 프로젝트 관심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색상이 지정된 각 타원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법 중 하나를 나타냅니다. 두 가지 협업 기반 식별 양식을 통해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또는 유스 케이스 모델링을 사용하여 협업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위의 접근 방식에 관계 없이 가장 먼저 결정해야 할 사항은 식별이 나중에 서비스로 집계되는 오퍼레이션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지 또는 서비스 세트가 이미 알려져 있으며 오퍼레이션이 식별된 대로 서비스에 추가되는지 여부입니다.

서비스 우선: 이 기법은 객체 지향 및 컴포넌트 기반 개발에 모두 사용됩니다. 여기서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일부 비즈니스 또는 기술 도메인 "요소"의 클래스를 식별하여 오브젝트 또는 컴포넌트 클래스를 먼저 식별합니다. 그런 다음 오브젝트 간 협업 분석에 따라 오퍼레이션(오브젝트의 책임)이 식별되고 클래스에 추가됩니다. 동일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도메인 분석으로 식별하고 아래 접근 방식에서 식별된 오퍼레이션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오퍼레이션 우선: 그러나 일부 비평가들은 서비스가 클래스 및 오브젝트 또는 컴포넌트와 같지 않음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서비스는 자원 세트를 관리하지만 서비스/자원 관계는 클래스/오브젝트 관계와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따라서 다른 분석 기법이 필요하며, 식별된 오퍼레이션 세트를 일부 논리 그룹으로 집계하여 나중에 서비스를 식별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활동의 예제는 서비스 우선 기법의 사용을 보여줍니다. RUP(Rational Unified Process)의 유사 가이드라인에 익숙한 사용자는 이 기법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성
이벤트로 구동됨
다중 발생
진행 중임
선택사항
계획됨Yes
반복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