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스크: 서비스 비기능적 요구사항 문서화
이 타스크는 포함된 디자인 요소 및 외부 서브시스템/인터페이스의 협업 관점에서 서비스 지향 솔루션의 서비스 및 구조를 정의하고 지정합니다.
목적
  • 포함된 디자인 요소 및 외부 서브시스템/인터페이스의 협업 관점에서 서비스 지향 솔루션의 서비스 및 구조를 정의합니다.
  • 공통성 및 변동에 대해 서비스를 분석합니다(가이드라인: 변동 분석 참조).
  • 서비스 스펙을 문서화합니다.
  • 종속성과, 서비스 간 통신을 결정합니다.
관계
기본 설명
이 타스크에서는 활동: 서비스 식별 에서 식별하고 규정한 아티팩트: 서비스 스펙 세트를 정제하고 추가 구조 및 세부사항을 제공합니다. 이 디자인 레벨 세부사항에는 인터페이스, 메시지 및 서비스 컴포지션과 제공자에 대한 서비스 할당이 포함됩니다.
단계
비기능적 요구사항 문서화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를 이용하면 기능성 제공 및 서비스 품질(QoS) 보장을 기반으로 한 아티팩트: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할 기회가 주어집니다. 서비스 제공자를 변경하는 이유 중 한 가지는 기존 제공자가 현재 지원하지 않는 새로운 레벨의 QoS를 필요로 하여 비기능적 요구사항이 변경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는 서비스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QoS의 저하로 발생합니다.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에서는 일반적으로 기타 아키텍처 스타일보다 낮은 비용으로 이 성능을 사용합니다.

QoS는 두 가지 Perspective, 즉 제공자와 이용자의 Perspective에서 볼 수 있습니다. 서비스 제공자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각각의 서비스 또는 그룹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고 유지보수하도록 보장합니다. 반면에 서비스 이용자는 원하는 QoS를 "살펴보고" QoS 기반의 제공자를 선택합니다. 또한 이용자 및 제공자가 서비스 사용에 대한 법적 계약을 맺는 상업적 설정에서는 이러한 서비스의 품질이 서비스 레벨 계약에서 구체화되며, 제공자가 이와 같은 계약을 지키지 못하면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서비스 또는 서비스 세트에 대해 이용자에게 필요한 비기능적 요구사항(예: 트랜잭션, 성능, 가용성, 보안 등에 대한 비용)을 분명하게 지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서비스 스펙의 타스크에서 원하는 QoS에 대한 비기능적 요구사항을 식별합니다. 비기능적 요구사항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컴포넌트의 자원을 커밋하고 지속적으로 QoS를 전달하는 서비스 컴포넌트의 실현(realization) 및 유지보수에 투자합니다. 핵심 아키텍처 결정으로 비기능적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의 약속된 품질을 달성해야 합니다.

비기능적 요구사항을 아티팩트: 서비스 스펙에 첨부하는 방법은 이 안내에서 정의되지 않습니다. 이와 같은 요구사항의 구성 요소, 즉 QoS에 대한 경계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보안에 대해서는 위에서 언급되었습니다. 예제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됩니다.

  • 가용성(예: 평균 실패 시간 간격(MTBF))
  • 작업 창(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을 시간이 있습니까?)
  • 응답 시간(서비스가 요청 수 응답하는 시간 간격)
  • 최대 처리량(서비스 요청이 시간 단위 당(초당, 분당, 시간당) 도달하는 수)
특성
다중 발생
이벤트로 구동됨
진행 중임
선택사항
계획됨
반복 가능함
자세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