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라인: 구현 모델
구현 모델은 주로 종속성 및 기타 관리 정보를 포함하여 구현 서브시스템을 모델링합니다. 이 가이드라인은 해당 목적 및 구조를 설명합니다.
관계
관련 요소
기본 설명

설명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구현은 디렉토리에 구성된 데이터 파일, 2진 파일 및 소스 코드 파일을 포함하여 구현 요소로 구성됩니다. 이 하위 레벨 요소 이외에도 종종 상위 레벨의 관리 단위, 구현 서브시스템, 해당 그룹 구현 요소 및 기타 구현 서브시스템을 작성해야 합니다.

구현 모델은 주로 종속성 및 기타 관리 정보를 포함하여 구현 서브시스템을 모델링합니다. 또한 구현 서브시스템의 키 요소(예: 배치 가능한 파일 또는 디렉토리 구조)를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함께 표시된 텍스트에서 설명되는 다이어그램

구현 모델의 표기법. 화살표는 가능한 소유권을 표시합니다.

구현 모델의 최상위 레벨(루트) 노드 역할을 수행하는 패키지(선택사항)가 있습니다. <<implementation subsystem>>으로 스테레오타입화된 패키지는 구현 요소(파일 및 디렉토리) 및 기타 구현 서브시스템을 그룹화합니다.

예제:

은행 업무 시스템에서 구현 서브시스템은 구현 모델의 최상위 레벨 노드에서 일반 구조로 구성됩니다. 구현 모델에서 서브시스템을 보는 다른 방법은 계층에서 보는 것입니다. 중간 산출물 가이드라인: 가져오기 종속성을 참조하십시오.

함께 표시된 텍스트에서 설명되는 다이어그램

소유권 계층 구조를 표시하는 은행 업무 시스템의 구현 모델.

구현 모델은 구현 서브시스템의 계층 구조 관점에서 기본 구현 구조를 정의할 뿐만 아니라 구현 서브시스템 간 가져오기 종속성, 구현 요소 간 컴파일 종속성 및 구현 모델 요소 및 디자인 모델 요소 간 종속성을 표시하는 다이어그램을 표시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다음을 참조하십시오.

사용

구현 모델은 구현 요소 및 구현 서브시스템의 관점에서 소프트웨어의 실제 조직에 대한 관심사항에 중점을 둡니다. 선택적으로 단일 모델에서의 논리 디자인 및 실제 구현 모두를 설명하는 단일 모델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구현/디자인 모델이 결합된 소스 코드 파일을 동기화하는 라운드트립 엔지니어링 접근 방식에서 공통된 작업입니다.

구현 서브시스템의 조직은 디자인 모델에 다소 가까울 수 있습니다. 두 모델 사이의 맵핑 방법에 따라 다릅니다. 이 경우 프로젝트에 특정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캡처해야 하는 프로세스 결정에 해당합니다. 맵핑이 정확한 경우, 즉, 각 구현 서브시스템이 디자인 서브시스템이기도 하면 디자인 및 구현 모두를 요약하는 단일 디자인 서브시스템에 초점을 맞춘 다이어그램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구현 모델을 구성하고 디자인 및 구현 모델 사이에서 맵핑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기법: 코드에 디자인 맵핑, 타스크: 구현 모델 구조화가이드라인: 구현 요소를 참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