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분석 프로세스의 일부로 설계자는 초기 지역성 다이어그램을 개발합니다. 지역성 보기는 비기능적 고려사항의 합성이고 신뢰성, 용량 등의 비기능적 요구사항을 해결하는 방법을 처리하는 컨텍스트를 제공합니다.
표준 엔지니어링 사례는 용량, 허용 실패 비율 등의 배분을 허용합니다. 이 노력의 결과는 각 지역성 요소의 파생된 보충 요구사항 세트입니다. 지역성 특성은 다음 요구사항에서 결정됩니다. 서브시스템의 파티션이
결정되고 정제되면 파생 요구사항 및 특성을 다시 검토합니다.
시스템 레벨 보충 요구사항도 서브시스템(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사람) 자체에 영향을 미칩니다. 서브시스템 특성이 지역성 특성과 결합되어 원하는 시스템 특성을 생성합니다.
서비스 품질 척도
서비스 품질(QoS)은 비기능적 요구사항의 측면을 포함한 개념입니다. 해당 특성 목록은 신뢰성, 유지보수성, 가용성 등의 여러 "특성" 및 안전, 인적 요소 등의 완전한 엔지니어링 특성을 포함하여 광범위할 수
있습니다. 중요 엔지니어링 특성 문제점은 일반적으로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해결합니다. 종종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게 할당되는 문제는 다음과 관련됩니다.
-
성능 - 시간 대비 시스템이 기능을 수행하는 정도(예: 반응도, 처리량, 최종 기한 충족)
-
신뢰성/결함 허용치 - 실패 전에 시스템이 필수 기능을 계속 수행할 수 있는 기간 및 시스템이 부분 실패에 대처하는(자동) 정도. 시스템 평균 실패 시간 간격(MTBF)은 신뢰성의 척도입니다.
-
유지보수성 - 시스템 실행을 유지하고 시스템의 문제점을 진단 및 해결하기 쉬운 정도. 시스템 평균 복구 시간(MTTR)은 유지보수성의 척도입니다.
시스템 구현 이전에 시스템 엔지니어는 대체 솔루션을 정의 및 비기능적 요구사항의 할당과 분배의 방법으로 시스템 모델에 자주 의존해야 합니다. 이러한 모델을 분석하여 모델이 원하는 서비스 품질 레벨을 충족하는 정도를
확인한 후 솔루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대개 비용 기준). 해당 절충 연구는 시스템 디자인의 모든 정제 레벨에서 중요합니다. 후보 솔루션의 합성은 설계자의 능력과 경험에 크게 의존합니다. 이러한
솔루션의 분석(수리적 모델링, 시뮬레이션 등 사용)은 비교적 기계적입니다. 그래도 이러한 분석의 신뢰성은 입력 데이터의 적합도 및 모델의 충실도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위에 나열된 QoS 척도와 관련된 모델 분석을 용이하게 만드는 데 기법 자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실시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성능 검사의 경우 Rate Monotonic
Analysis[Klein, M. H., et al. A Practitioners' Handbook for Real-Time Analysis: Guide to Rate Monotonic Analysis for
Real-Time System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3 참조] 및 하드웨어 장애 및 안전 위험성 식별 및 특성화의 경우 FMECA(Failure Mode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Kececioglu, Dimitri, Reliability Engineering Handbook, Vol. 2, PTR Prentice Hall, 1991 참조]).
"계획성, 성능 및 시간 스펙에 대한 UML 프로파일" 및 "서비스 수준 및 결함 허용치 특성 및 메커니즘 모델링에 대한 UML 프로파일"이라는 프로파일 규정을 통해 이러한 분석 유형의
지원이 UML에 추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파일(www.omg.org에서 사용 가능)은 프로파일에 정의된 특성 및 해당
특성에 대해 작성된 정량적 예측을 위해 다양한 기존 및 향후 모델 분석 기법 및 도구를 사용하여 프로파일을 분석할 수 있는 UML 모델의 어노테이션을 정의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