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유스 케이스 하향 전달
유스 케이스 하향 전달(flowdown)은 분석 및 디자인 요소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도출하는 기법입니다.
관계
기본 설명

소개

유스 케이스 하향 전달(flowdown)은 분석 및 디자인 요소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도출하는 기법입니다. 활동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서브시스템 오퍼레이션의 조사
  • 호스트 서브시스템 오퍼레이션의 지역성 조사
  • 실행 서브시스템 오퍼레이션의 프로세스 조사
  • 서브시스템의 유스 케이스 조사(선택사항)

이 기법은 중요한 아키텍처 유스 케이스 세트를 선택하는 표준 RUP 활동을 사용합니다. 선택된 각 유스 케이스에 대해 이벤트 플로우를 개발합니다. 이벤트 플로우는 시스템 액터 및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 설명입니다. 시스템 응답은 블랙 박스입니다. 설명은 아키텍처 요소를 참조하지 않습니다. 그런 다음 블랙 박스 단계(시스템 오퍼레이션으로 수행)는 각각 서브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화이트 박스 단계로 확장됩니다. 화이트 박스 단계도 상호작용을 호스트하는 지역성 및 상호작용을 실행하는 프로세스와 연관됩니다. 지역성 또는 프로세스에 걸쳐 있는(즉, 완료하는 데 둘 이상이 필요한) 각 화이트 박스 단계는 하나의 프로세스를 통해 첫 번째 지역성에서 완료될 때까지 분할되어 있습니다. 화이트 박스 단계는 여러 지역성에서 복제될 수 있지만 복제된 화이트 박스 단계는 독립적 인스턴스입니다. 화이트 박스 단계는 논리 분해의 이 하위 레벨에서 시스템 오퍼레이션에 해당하는 서브시스템 오퍼레이션이 되는 후보입니다.

시스템 오퍼레이션의 실현(realization)에 참여하는 개별 서브시스템에 대한 서브시스템 오퍼레이션의 고유 시퀀스를 구성하면 서브시스템 유스 케이스(선택적 단계)가 생성됩니다.

서브시스템 지역성 맵핑

유스 케이스 하향 전달(flowdown)의 착수 시 일반적으로 여러 지역성에 걸쳐 있고 여러 지역성을 캡슐화할 수도 있는 시스템을 처리하게 됩니다. 서브시스템으로 분해를 수행하는 심도는 아키텍처 관련 판단의 문제이고 도메인 및 다른 요소 간의 시스템 복잡도에 따라 다릅니다. 그러나 성능 분석의 목적으로는 지역성에 부과되는 계산 로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 작업은 해당 지역성에서 호스트된 서브시스템 오퍼레이션에 의해 수행됩니다. 따라서 다음 분해 규칙을 고려하십시오. 분해는 지역성 간에 명확하게 구분된 서브시스템 오퍼레이션 세트를 생성해야 합니다. 즉, 서브시스템 오퍼레이션은 여러 지역성에 걸쳐 있지 않고, 서브시스템 오퍼레이션(서브시스템 A의)이 성능을 위해 다른 지역성의 자원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해당 자원 자체는 서브시스템 오퍼레이션을 통해 사용 가능하게 되어야 합니다. 이 서브시스템 오퍼레이션은 해당 지역성의 서브시스템 A에서 제공되거나 다른 서브시스템에서 제공될 수 있습니다.

이 조건은 서브시스템이 여러 지역성에 걸쳐 있지 않은 경우 확실히 적용되지만, 서브시스템 오퍼레이션이 설명된 대로 파티션될 수 있는 경우 서브시스템은 여러 지역성에 걸쳐 있을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서브시스템은 추가로 분해되어야 합니다. 여기서는 여러 지역성에 걸쳐 있는 서브시스템의 단일 인스턴스에 대해 설명합니다. 서브시스템은 항상 여러 지역성에서 복제될 수 있지만 복제된 서브시스템은 독립 인스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