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MA 개념
통합 메소드 아키텍처(UMA)는 메소드 컨텐츠 및 프로세스로 구성되는 메소드를 표시하기 위한 스키마 및 용어를 정의하는 프로세스 엔지니어링 메타 모델입니다. 세부사항은 개념: 통합 메소드 아키텍처(UMA)의 주요 기능을 참조하십시오.
UMA의 기본 원칙
UMA는 다음과 같은 관심사항의 기본 분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
핵심 메소드 컨텐츠 대 프로세스에서의 메소드 컨텐츠 적용의 분리
-
메소드 및 프로세스 저장소의 대규모 관리 메소드에서 선택적인 확장성 메커니즘 정의
-
메소드 라이브러리에서 메소드 컨텐츠, 프로세스 및 플러그인의 패키징 및 구성
-
권장되는 메소드 및 안내 설명 필드의 분리
-
프로세스 다이어그램에서 시맨틱 요소를 해당 표기법과 분리
UMA의 기본 요소
통합 메소드 아키텍처(UMA)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재사용가능 통합 메소드 아키텍처를 프로세스에서의 컨텐츠 적용과 분리하는 것이므로 UMA의 거의 모든 요소가 이 분리에 따라 분류됩니다.
UMA는 재사용가능 통합 메소드 아키텍처와 프로세스에서의 해당 적용을 분리합니다. 메소드 컨텐츠는 개발 라이프사이클 내에서의 해당 항목 위치에 관계없이 생성되는 내용, 필요한 스킬, 특정 개발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별 설명을 기술합니다. 프로세스는 이 메소드 요소를 가져와 특정 유형의 프로젝트에 맞게 사용자 정의되는 반 순서 지정된 시퀀스와 관련시킵니다. 예를 들어, 처음부터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는 기존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확장하는 프로젝트와 유사한 "비전 개발" 또는 "유스 케이스 디자인" 등의 개발 타스크를 수행합니다. 그러나 두 프로젝트는
서로 다른 강조를 사용하여 다른 시점에서 타스크를 수행합니다. 즉, 다른 시점에서 타스크 단계를 수행하고 개별적인 변형 및 추가 사항을 적용합니다.
아래 그림은 두 개의 다른 차원으로 메소드 컨텐츠 및 프로세스를 표시하여 차이점을 보여줍니다.
-
개발 작업의 수행 방법을 설명하는 메소드 컨텐츠는 원칙에 따라 분류됩니다. 각각의 원칙은 특정의 개발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에 관한 단계별 설명을 제공하는 타스크(그림에서는 볼 수 없음)로
구성됩니다.
-
프로세스의 경우, 타스크는 메소드 컨텐츠로부터 프로세스에 참조되었고 작업을 수행할 자원을 할당하고 타스크 입력 및 출력으로 실제 중간 산출물을 가짐으로써 인스턴스화 준비가 완료된 작업분류체계 및 워크플로우에
위치되었습니다.
메소드 컨텐츠 정의 대
프로세스에서의 메소드 컨텐츠 적용
UMA의 핵심 개념은 아래 그림에 표시된 대로 메소드 컨텐츠와 프로세스의 분리를 반영합니다. 메소드(메소드 프레임워크라고도 함)가 메소드 컨텐츠(중간 산출물, 역할, 타스크 및 카테고리 포함)와 프로세스(활동,
기능 패턴 및 전달 프로세스 포함)로 구성됨을 보여줍니다.
주요 UMA 개념이 메소드 컨텐츠 또는 프로세스 중 어느 것을 표시하는지 여부에 따라 개념이 위치되는 방법에 대한 개요
주요 메소드 컨텐츠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프로세스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안내는 다음과 같은 많은 유형으로 제공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