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목적 서비스 모델링
목적 서비스 모델링으로 비즈니스 연계 서비스를 검색하고 중요한 서비스가 프로세스 분해 또는 기존의 자산 분석 중에 누락되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적 서비스 모델링에서는 또한 비즈니스 목적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기타 서비스 식별 기법의 초점을 좁히는 데 중요한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비즈니스 목적을 하위 목적으로 나눈 후, 하위 목적을 충족시킬 서비스의 종류를 결정합니다. 식별된 KPI, 메트릭 및 연관된 이벤트로 식별된 서비스의 수행을 평가하고 하위 목적에 대해서도 이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설명작업분류 체계(WBS)팀 할당중간 산출물 사용법
관계
상위 활동
설명

목적 서비스 모델은 두 번의 정제 과정을 거쳤다고 간주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정제 과정에서는 목적의 첫 번째 구조, 하위 목적, 프로젝트의 KPI 및 메트릭을 캡처하고 목적 및 하위 목적을 가능한 후보 서비스에 맵핑합니다.  이 정제 후에도 서비스에 아직 맵핑되지 않은 목적 또는 하위 목적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정제 과정은 비즈니스 연계를 위해 후보 서비스를 평가하는 동안 서비스 공개를 결정할 때 이루어집니다.  공개를 위해 선택될 서비스는 목적 서비스 모델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 또는 하위 목적에 맵핑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서비스 맵핑을 문서화하고 잠재적으로 새 목적 또는 하위 목적 추가가 가능한 목적 서비스 모델로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비즈니스 목표에 맞게 평가하기 위해).

기타 SOMA 활동과 유사하게, 목적 서비스 모델링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여러 번의 반복을 통해 목적 서비스 모델을 빌드하는 접근 방식 사용 시 실행됩니다. 목적 서비스 모델의 한 영역은 첫 번째 정제 시 설명된 지점에서 완성되는 반면 모델의 다른 영역은 두 번째 정제 시 설명된 지점에서 완성됩니다.  결국 목적 서비스 모델링 및 서비스 공개 결정의 추가 반복으로 목적 서비스 모델은 현재 프로젝트 완료에 필요한 모델의 모든 영역에 대한 정제의 두 번째 레벨에서 완성됩니다.

목적 서비스 모델 중간 산출물의 인스턴스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는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며 작업 세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또는 작업 세션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세션 중에 목적 서비스 모델 템플리트의 인스턴스를 작성할 수 있으며, 이 세션에서는 모든 참가자에게 가시적이고 발전적인 목적 및 하위 목적의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특성
이벤트로 구동됨
다중 발생
진행 중임
선택사항
계획됨Yes
반복 가능함
자세한 정보
가이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