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식별된 가이드라인을 프로젝트 구성원에게 제공하기 위해 준비
|
식별된 가이드라인의 결과 세트를 분석할 때 내려야 하는 중요한 결정 하나는 "구매 또는 빌드"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입니다.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공짜로" 얻을 수도 있겠지만 가이드라인 세트를 프로젝트
컨텍스트에서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변환하는 비용과 특정 필요에 맞게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또는 전체 가이드라인을 생략하는 비용을 비교하면서 고려해야 합니다.
하위 주제:
프로젝트 프로세스를 책임지는 프로세스 엔지니어는 유용한 기존 가이드라인이나 프로젝트 구성원이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예를 지속적으로 찾습니다. 회사의 자산 저장소에 일부
가이드라인이 보관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조직별 사례"로 편집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공용 표준" 범주에 속하는 가이드라인도 있을 수 있으며 기존 문헌이나 인터넷을 통해 찾아볼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가이드라인은 처음에는 프로젝트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스에 대한 문서 등과 같은 프로젝트 중간 산출물로 생성되며, 대부분의 다른 자산과 마찬가지로 가이드라인의 가치를 프로젝트 범주 밖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재사용가능한 후보로 테스트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새 가이드라인을 프로젝트 내에서 생성하기로 결정한 경우 여기에 주의를 기울이고 내부 프로젝트 중간 산출물로 간주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자원을 할당하여 가이드라인을 생성 및 확인하고 적절한 반복 계획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처음에는 되도록 프로젝트의 특정 컨텍스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의 특정 목적에 맞게 개발하는 대신 향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중간 산출물을 일반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다가 프로젝트가 궤도를
벗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직의 프로세스 개선 노력의 일환으로, 생성된 가이드라인을 향후 프로젝트에서 재사용할 것을 고려하십시오. 가이드라인 또는 프로젝트 중간 산출물을 재사용가능한 자산으로 변환하는 작업은
이상적인 경우 단일 프로젝트 예산 밖의 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새 가이드라인은 프로젝트 라이프사이클의 어느 시기에서나 개발될 수 있습니다. 다른 중간 산출물을 생성하기 위한 성공적인 접근 방식을 문서화하는 타스크로, 또는 "적시"에 주로 개발됩니다.
가이드라인 및 예는 프로젝트의 컨텍스트에 맞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나중에 사용되지 않을 것입니다. 프로젝트에 맞게 가이드라인을 사용자 조정하는 것은 프로제스 엔지니어 및 주요 이용자 대표의 책임입니다. 다른
프로젝트에서 선별한 가이드라인은 약간 다른 컨텍스트에서 개발된 것이므로 이를 사용자 조정하는 것이 특히 중요합니다.
사용자 조정된 결정을 캡처해야 합니다. 이 결정은 동일한 가이드라인을 재사용하게 될 향후 프로젝트에서 유용할 수도 있습니다.
가이드라인을 사용자 조정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준비된 가이드라인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가이드라인이나 예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 누구에게 피드백을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용자에게
명확하게 알려줘야 합니다.
RUP 플러그인 기술을 사용하는 공개된 프로세스 웹 사이트를 통해 가이드라인이 제공됩니다. 이 사이트에서 가이드라인을 관련된 중간 산출물 및 타스크와 연관지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개념: RUP 사용자 조정을 참조하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