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점 분석의 첫 단계는 모든 관련자가 시스템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또는 실현되는 기회)에 합의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오해를 없애려면 프로젝트에 걸쳐 사용될 공통 용어에 합의해야 합니다. 라이프사이클의
초기부터 프로젝트 기간 동안 유지보수할 용어집의 프로젝트 용어를 정의해야 합니다(공통 용어
캡처 참조).
처리할 문제점을 완전히 이해하려면 프로젝트의 개념적 비전에서 이해 당사자(stakeholder)가 누구인지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핵심 이해 당사자는 고려할 기능 세트의 수집에 참여해야 하며, 이 세트는 요구사항 워크샵에서 수집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기능을 속성(예: 근거, 상대값 또는 우선순위, 요청 소스 등)에 지정하여 종속성 및 작업 계획이
관리될 수 있도록 합니다.
문제점 분석에서 얻은 정보를 캡처하는 기본 아티팩트는 비전으로, 이는 빌드할
시스템의 상위 레벨 사용자나 고객 보기를 식별합니다(비전 개발 참조). 비전에서, 초기의 상위 레벨 요구사항이 적절한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핵심 기능을 식별합니다. 일반적으로 이 요구사항은 가장 중요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이 가지는 상위 레벨 기능 세트로
표시됩니다.
프로젝트의 초기 영역을 판별하려면 시스템의 경계에 합의해야 합니다. 시스템 분석가는 개발
중인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사용자와 시스템을 식별합니다. 시스템의 사용자는 유스 케이스
모델의 액터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액터
및 유스 케이스 찾기 참조).
요구사항 관리 계획은 개발해야 할 요구사항 아티팩트, 프로젝트에 대해 관리해야 하는 요구사항의 유형, 수집해야 할 요구사항 속성 및 제품 요구사항을 관리하는 데 사용할 요구사항 추적성에 대한 접근 방식의 안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계획을 먼저 개발해야 합니다(요구사항 관리 계획 개발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