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위험성
이 가이드라인은 위험성에 대해 설명하고 그 위험성을 관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해 간단히 설명합니다. 위험성은 정상 분배 내에서 프로젝트 성공에 방해가 되는 값을 취할 수 있는 변수입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위험성은 성공을 위한 사용자 방법에 관련되어 있지만 현재 알 수 없거나 확실하지 않은 어떤 것을 말합니다.
관계
관련 요소
기본 설명

소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알려진 측면을 기본적으로 관리합니다. 수행해야 할 것으로 알고 있는 것만 명확하게 설명, 계획, 지정 및 검토할 수 있습니다. 위험성 관리는 알 수 없는 측면을 관리합니다. Tim Lister가 "모두 위험성에서 벗어난 프로젝트가 수행되었습니다."라고 말한 것처럼 위험성 관리는 장시간 존재하고 있습니다. 많은 조직은 여전히 '위험성 거부' 모드에서 작업하고 있습니다(모든 변수를 알고 있는 것처럼 예상 및 계획이 수행되고, 작업이 자동적이며 인원도 교대 가능할 것으로 가정하는 등). 그러나 갈수록 많은 조직에서 위험성 관리에 대해 말로만 신경쓰며 최악의 경우 이런 위험성 관리 대책이 표면적이며 근거 없는 시도임을 알게 됩니다.

정의

상호작용 라이프사이클에서의 많은 결정은 위험성에서 파생됩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가 직면하는 위험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위험성을 완화하거나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명백한 전략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매일의 생활에서 위험성은 손실 또는 손상(불확실한 위험성을 포함하는 과정, 요소, 어떤 것 또는 요인)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더 특별히 다음과 같은 위험성이 있습니다.

  • 위험성은 정상 분배 내에서 프로젝트 성공에 방해가 되는 값을 취할 수 있는 변수입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위험성은 성공을 위한 방법에 관련되어 있지만 현재 알 수 없거나 확실하지 않은 어떤 것을 말합니다.
  • 성공은 가능한 한 프로젝트 예상으로 보유된 모든 요구사항 및 제한조건 세트 전체의 충족입니다.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위험성을 더 규정할 수 있습니다.

  • 직접 위험성: 프로젝트가 많은 제어를 가지고 있는 위험성
  • 간접 위험성: 프로젝트 제어가 적거나 전혀 없는 위험성

위험성의 속성:

  • 발생 가능성
  • 프로젝트에 대한 영향(심각도)

두 가지는 종종 단일 위험성 크기 지표(높음, 중요, 보통, 사소함, 낮음)로 결합할 수 있습니다.

전략

위험성 관리에서 핵심 개념은 위험성이 구체화되어 문제점이 되거나 프로젝트를 중단할 때까지 수동적으로 기다리지 않고 그 위험성에 대해 무엇을 수행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것입니다. 인식되는 위험성마다 미리 무엇을 수행해야 하는지 결정합니다.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가능한 주요 방법이 있습니다.

  • 위험성 회피: 위험성의 영향을 받을 수 없도록 프로젝트를 재구성합니다.
  • 위험성 이전: 다른 사람이나 사물이 위험을 감당하도록 프로젝트를 재구성합니다(고객, 벤더, 은행, 다른 요소 등).
  • 위험성 허용: 위험성이 불확실하다고 보고 허용합니다. 위험성 증상을 모니터하고 위험성이 심각하면 수행해야 할 조치에 대한 비상사태 계획을 결정하십시오.

위험성을 허용할 때 다른 두 가지를 수행해야 합니다.

  • 위험성 완화: 위험 가능성 또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즉각적이고 미리 대책을 강구하는 단계를 취합니다.
  • 비상사태 계획 정의: 위험성이 실제 문제점이 될 경우 취해야 하는 조치의 과정을 정의합니다.

위험성 관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BOE91], [CAR93], [CHA89], [FAI94] 및 [JON94]를 참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