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UMA 대 RUP 2003 메타 모델
이 개념은 통합 메소드 아키텍처와 Rational Unified Process/Rational Process Workbench 2003 메타 모델 사이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기본 설명

배경

통합 메소드 아키텍처(UMA)는 IBM 내 모든 메소드 및 프로세스 엔지니어링 접근 방식의 표시 스키마와 용어를 통일하고 업계의 가장 중요한 표준을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따라서 아래 그림에 표시된 대로 UMA는 IBM Rational Unified Process(RUP), IBM Global Services Method(GS Method) 및 IBM Rational Summit Ascendant의 설계자 공동의 노력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이 핵심 설계자 그룹 외에 IBM 내외부의 여러 다른 개발 프로세스 발의의 이해 당사자(stakeholder)가 스펙에 기여하고 검토했습니다. 스펙 자체는 SPEM 2.0 표준에 대한 제안으로 OMG에 제출되었습니다. RUP 2003 메타 모델이 현재의 SPEM 1.1 표준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 SPEM 2.0 제안서 안은 획기적이지만 이 표준의 연속된 발전으로 볼 수 있습니다.

통합 메소드 아키텍처의 발전을 표시하는 그림

이 통합의 기본 목적은 핵심 특성을 유지한 채로 모든 메소드와 프로세스를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용어 및 데이터 구조 세트를 제안하는 것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RUP 반복적 개발 라이프사이클, 점진적 GS Method 라이프사이클 및 Summit Ascendant 폭포수형과 반복적 라이프사이클 등 여러 다른 라이프사이클 모델을 지원하도록 UMA를 디자인해야 했습니다. 또한 RUP에서 활동이라 부르는 것을 GS Method에서는 타스크라 부르고, RUP에서 아티팩트라 칭하는 것을 Summit Ascendant는 인도물이라 정의하는 등의 용어 차이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RUP 2003 사용자를 위한 UMA의 변경사항

이러한 모든 접근 방식에 맞는 한 가지 데이터 구조와 더욱 중요하게는 하나의 용어만을 정의한 결과, 모든 이해 당사자가 절충안과 변경사항을 받아 들여야 했습니다. 이와 같은 변경이 현재의 RUP 사용자에게는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 결국에는 광대하게 사용되는 하나의 통합된 용어와 메소드 컨텐츠 및 프로세스에 대한 표준화된 표현 방식이 프로세스에 대한 통신을 개선하고 재사용을 수월하게 합니다. 다음 목록은 RUP 2003 메타 모델의 가장 중요한 변경사항을 요약합니다. 이 페이지의 끝에 있는 표는 UMA의 모든 주요 소스에 대한 완전한 용어 비교를 제공합니다.

  • 활동에서 타스크로 이름 변경: 프로세스 규정 및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링크를 더 확실하게 하기 위해 지정 가능한 최하위 단위의 작업 이름을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타스크로 바꾸었습니다.
  • 워크플로우 세부사항에서 활동으로 이름 변경: 워크플로우는 일반적으로 활동 다이어그램의 계층 구조로 표현됩니다(예: UML 2.0에 정의된 활동 다이어그램). RUP가 워크플로우 작업분류의 한 레벨만을 제공했지만 UMA는 이러한 작업분류의 복수 레벨을 제공하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 활동이란 단어는 일반적으로 활동 다이어그램 자체뿐만 아니라 활동 다이어그램의 요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므로 RUP에 사용되는 워크플로우 세부사항이라는 이름을 활동으로 바꾸었습니다. 활동이란 단어의 사용 변경으로 인해 기존 RUP 사용자가 혼란스러울 수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UMA 작업의 한 가지 중요한 목적은 표준 및 업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었습니다. 
  • 여러 역할이 타스크(이전의 RUP 활동)를 수행할 수 있음: RUP 2003에서는 활동이 역할의 오퍼레이션으로 모델링되었습니다. UML 2.0에 소개된 변경사항과 프로세스 모델링 접근 방식의 다른 관점인 고객 피드백을 통해, 이는 사람의 동작을 모델링하기에 너무 제한적인 방식임이 드러났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일부 작업이 다른 역할의 협업으로 수행되었음을 표현하도록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UMA는 타스크를 수행 역할이 자원으로 지정될 수 있는 독립적 모델 요소로 만들어서 이 문제를 처리합니다. 따라서 현재 UMA는 여러 역할을 한 타스크에 지정하도록 합니다. 역호환성을 위해 이는 여전히 여러 추가 수행자 뿐 아니라 주요 수행 역할(타스크에 대한 책임이 있음)이 식별되도록 합니다.
  • 아티팩트 개념의 정제: RUP에서는 개발 프로젝트에서 사용되고 생성되는 사항을 정의하는 데에만 아티팩트 개념을 사용했습니다. UMA는 이 개념에 대한 확장 분류를 정의합니다. 이는 중간 산출물의 일반 개념을 정의하며 여기에는 세 가지 다른 전문화(특정 중간 산출물 유형) 즉, 아티팩트(관리된 중간 산출물), 인도물(이해 당사자가 검토하도록 전달할 패키징된 중간 산출물) 및 결과물(관리되지 않은 무형의 중간 산출물)이 있습니다.
  • 중간 산출물 및 역할의 여러 분류: RUP에서 아티팩트 및 역할은 모두 원칙별로 분류되었습니다. 그러나 때로 아티팩트는 여러 원칙에서 사용되었고 한 원칙으로만 분류하면 혼동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UMA에서는 작업 정의(타스크 및 활동에 대한 원칙), 중간 산출물(도메인 및 중간 산출물 유형) 및 역할(역할 세트)에 다른 카테고리가 정의되었습니다. 
  • 프로세스 컴포넌트에서 메소드 패키지로 이름 변경: 컴포넌트 개념은 여러 표준 및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대부분의 컴포넌트 적용에서는 이를 잘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블랙 박스로 컴포넌트를 정의하는 캡슐화 추상으로 연결합니다. RUP 컴포넌트는 이 블랙 박스 기준을 준수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SPEM 표준에서는 패키지 및 컴포넌트를 정의했습니다. 단어 컴포넌트의 업계 사용법 및 SPEM에 맞추기 위해 프로세스 컴포넌트를 메소드 패키지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이는 메소드 요소나 프로세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엄밀히 말해 '메소드'입니다.)
  • 프로세스 요소로부터 메소드 컨텐츠 요소 분리: RUP 2003에서 새 구성을 정의하고 개발 사례 아티팩트에서 표준 RUP 변경사항을 수동으로 문서화해서 새 프로세스를 작성했습니다. UMA는 프로세스를 조정하기 위한 구성 개념 외에 확장된 개념을 제공합니다. 메소드 컨텐츠로부터 원하는 것을 무엇이든 재사용하거나 하지 않거나 간에 프로세스 구조의 요소를 쉽게 추가, 제거 및 재정렬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단계에서 실제로 수행하려는 메소드 컨텐츠에 정의된 작업을 프로세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 모델링(즉, 신규 또는 적용된 활동 다이어그램이나 신규 또는 적응된 작업분류체계(WBS) 작성)과 프로세스에 메소드 컨텐츠 적용(활동 다이어그램 및/또는 작업분류체계(WBS)로 표현) 및 메소드 컨텐츠의 명확한 분리(원칙에 대해 정의된 타스크)에 의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는 모두 동일한 구성 내의 대체 프로세스 및 프로세스 파트의 여러 다른 계열을 유지보수하고 재사용하기 위한 새 기능을 성취하고 이 분리를 지원하는 설명자와 같은 몇 가지 새 개념을 소개합니다.

용어 비교

다음 표는 UMA 용어를 기타 프로세스 엔지니어링 접근 방식에 사용되는 용어로 맵핑하는 방법을 보여 줍니다.

  UMA/RMC RUP 2003 SUMMIT IGSM SPEM 1.1
기본 메소드 요소        
  역할 역할 역할 역할 프로세스 역할
중간 산출물   인도물    
중간 산출물/아티팩트 아티팩트   중간 산출물 설명 중간 산출물
중간 산출물/결과물     타스크 결과물  
중간 산출물/인도물     인도물 컨텐츠 설명  
타스크 활동 활동 타스크 활동
단계 단계 단계 하위 타스크 단계
         
관련 프로세스        
  활동 워크플로우 세부사항 타스크 활동 작업 정의
반복 반복     반복
단계 단계 단계 단계 단계
기능 패턴     기능 패턴 (프로세스 컴포넌트)
전달 프로세스 라이프사이클/구성 라우트 맵 고용 모델 (프로세스)
         
분류        
  원칙 원칙 모듈   원칙
도메인 (아티팩트 세트)   도메인 중간 산출물 유형
역할 세트 (역할 세트)      
도구 도구      
         
메소드 패키징        
  메소드 플러그인 프로세스 모델 플러그인     프로세스
메소드 패키지 프로세스 컴포넌트     패키지
메소드 패키지/컨텐츠 패키지        패키지
메소드 패키지/프로세스 패키지       패키지
프로세스 패키지/프로세스 컴포넌트       프로세스 컴포넌트
         
안내 유형        
  가이드라인 가이드라인 참조 문헌 기법 문헌 가이드라인
개념 개념 참조 문헌    
백서 백서 참조 문헌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   기법 문헌(V&V) 체크리스트
도구 사용 도움말 도구 사용 도움말   도구 안내서 도구 사용 도움말
템플리트 템플리트 템플리트 템플리트 템플리트
보고서 보고서      
예상   예상 예상 고려사항 예상
예제 예제   참조 항목/예제  
로드맵  로드맵 라우트 맵 설명    
용어 정의 (용어집) (용어집)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