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스크: 서비스 상태 관리 결정 문서화
이 타스크는 포함된 디자인 요소 및 외부 서브시스템/인터페이스의 협업 관점에서 서비스 지향 솔루션의 서비스 및 구조를 정의하고 지정합니다.
목적
  • 포함된 디자인 요소 및 외부 서브시스템/인터페이스의 협업 관점에서 서비스 지향 솔루션의 서비스 및 구조를 정의합니다.
  • 공통성 및 변동에 대해 서비스를 분석합니다(가이드라인: 변동 분석 참조).
  • 서비스 스펙을 문서화합니다.
  • 종속성과, 서비스 간 통신을 결정합니다.
관계
기본 설명
이 타스크에서는 활동: 서비스 식별 에서 식별하고 규정한 아티팩트: 서비스 스펙 세트를 정제하고 추가 구조 및 세부사항을 제공합니다. 이 디자인 레벨 세부사항에는 인터페이스, 메시지 및 서비스 컴포지션과 제공자에 대한 서비스 할당이 포함됩니다.
단계
상태 관리 요구사항 문서화

개별 서비스가 Stateless로 간주되지만 컴포지션에는 구성된 서비스 호출을 통한 상태 정보를 유지보수하는 요구사항이 있습니다. 서비스의 Choreographer는 종종 상태 관리를 해야 합니다. 또는 관련된 다중 서비스나 서비스에 대한 오퍼레이션을 구현 및 실현하는 컴포넌트에서는 성능 이유로 호출 간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SOA 환경에서의 상태 관리는 세 가지 기본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트랜잭션 상태 - 클라이언트와 대화 중에 서비스의 트랜잭션이 열려 있습니다.
  • 보안 상태 - 클라이언트와 대화 중에 보안 컨텍스트가 열려 있습니다.
  • 기능적 상태 - 클라이언트와의 대화가 많은 관련 오퍼레이션에 영향을 줍니다.

자세한 정보는 가이드라인: 서비스 상태 관리를 참조하십시오.

특성
다중 발생
이벤트로 구동됨
진행 중임
선택사항
계획됨
반복 가능함
자세한 정보